본문 바로가기

소목심 구이 이마트에서 사온 소목심. 원래 스테이크감이라는데 환경여건상 그냥 구이가 되어버렸다. 그래도 소스는 스테이크소스. -_- 며칠 얼려놨다 먹어서그런지 좀 질겼다.
마끼 나름대로 내가 좋아하는 내용물들을 넣긴했는데 그냥 우리나라식 김밥이 나은거같다.
반복 현실은 계속 희미해질뿐인데 마음한구석에선 발악을 해댄다. 무덤덤을 넘어 무감각한 인간이 되기란 불가능한것일까.
Placebo - Placebo (1996) 데이빗 보위와의 심상치않은 친분관계, 개인적으로 별로 호감가는 외모는 아니지만 연약한 카리스마의 소유자 브라이언 몰코. 글램락을 다룬 영화 벨벳골드마인에 출연하는등 외형적으로볼땐 딱 글램락 컨셉이다. 그런데 음악에선 펑크냄새가 난다. 그렇다고 펑크라고 하기에는 어둡고 무겁고 음울함까지 베어있다. 그리고 구석구석 몽환적인 느낌까지 곁들여져 있다.(어떤부분에선 스매싱 펌킨스가 떠오르기도) 이런 복합적인 요소들을 잘 혼합해서 난잡하지 않고 간결하게 들려준다. 아주 새롭고 참신한 형태의것은 아니지만 흔히 일컬어지던 기존 브릿팝 사운드와는 차별화된 자기들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낸 팀이다. Nacy Boy, I Know, Come Home등이 히트했고 36 Degrees, Hang On To Your IQ같은곡도 좋다..
Manic Street Preachers - Everything Must Go (1996) 리치 실종뒤 3인조로 만든 첫앨범이자 상업적으로도 가장 큰 성공을 거둔앨범. 이 앨범에서부터 매닉스가 진짜(!) 브릿팝을 하기 시작한다. 초기의 공격적인 색채가 (적어도 외형적으로는)거의 사라지고 서정적이고 편안한곡들이 많다. 항상 이런 변신에는 상업적이어졌다는 비난이 따르기마련이지만 내 개인적인 취향에는 이쪽도 잘 맞았기때문에 불만은 없다. A Design For Life는 이들이 얼마나 변했는지 또 앞으로 어떤스타일로 나아갈지 보여주는 좋은 예.
내가 만든 스파게티 이제 스파게티도 나가서 사먹을일이 없어졌다..
내가 만든 오무라이스 나날이 늘어가는건 뱃살과 요리실력뿐. 음식점이나 차릴까..
단돈 11000원 11000원으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세트.
컴조립 음악감상 및 웹서핑 용도. 나름대로 블랙으로 맞춘 컨셉. 17인치 LCD포함 총 제작비용 58만원.
유산슬 정식 5500원. 싼맛에 유산슬맛 좀 볼라고 했더만.. 역시 싼게 비지떡이다.
어린시절 나 맞다.
Manic Street Preachers - The Holy Bible (1994) 매닉스 앨범들중 가장 오래 끼고 살았던 앨범이다. 리치의 실종사건도 있지만서도, 내가볼땐 다음 앨범부터 노골적인 브릿팝 사운드로 변신하기전 마지막 앨범이란데에 더 의미가 있다. 1, 2집만큼 시원한맛은 좀 사라졌지만 질리지않는 은은한 맛이 있다. Yes, She is Suffering, 4st 7lb의 오래가는 중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