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 썸네일형 리스트형 Summer Salt - Happy Camper (2018) 여름에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밴드 중 하나인 여름 소금의 현재까지 유일한 풀렝스 앨범이다. 2014년부터 앨범을 내기 시작해서 활동한지도 꽤 됐는데 정규 앨범은 이 Happy Camper 하나뿐이고 나머진 다 EP들이다. 노래들이 정말 하나 같이 다 좋기 때문에 감질나는 EP 말고 풀렝스 앨범을 더 내주면 좋겠다. 서프락, 보사노바 등이 어우러진 레트로한 사운드로 날씨 좋은 해변가 휴양지에 누워 칵테일 한잔 마시고 들으면서 낮잠 자고 싶은 그런 음악이다. 별로 중요한건 아니지만 두 명의 주요 멤버 중 드러머인 유진정(Eugene Chung)은 한국계인데, 알지도 못하는데 괜히 친근하게 느껴지는 것(한국인 종특)도 있다. Swimming Tapes - Morningside (2019) 북아일랜드 출신으로 런던에서 활동하지만 음악은 영국보단 미국 스타일에 가까운 스위밍 테이프의 정규 데뷔 앨범이다. 쟁글팝 같은 찰랑거리는 기타 사운드와 경쾌한 리듬, 나긋나긋한 보컬이 어우러져 (가본 적은 없지만) 햇살이 내리쬐는 캘리포니아 해변가가 떠오르는 서프락의 감성도 느껴진다. Mild Orange - Mild Orange (2020) 뉴질랜드 드립팝 인디 밴드 마일드 오렌지의 두 번째 앨범이자 셀프 타이틀 앨범이다. 전체적으로 전작과 비슷한 분위기지만 좀 더 밝아진 느낌으로, 마일드 오렌지라는 밴드명만큼 상큼한 음악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너무 다운되거나 어둡진 않은 편안한 음악을 들려준다. 이번 앨범엔 전작의 Some Feeling 같은 히트곡(?)은 없어 보이지만 Freak in Me나 Making Things 같은 곡들의 투박하고 단순하지만 기타의 톤과 멜로디가 마음에 드는 곡들이 꽤 있다. Tame Impala - The Slow Rush (2020) 5년 만에 나온 테임 임팔라의 네 번째 정규 앨범이다. 전체적인 분위기는 전작의 연장선으로 보이는데, 여전히 사이키델릭하고 멜로디컬하고 댄서블하고 레트로하다. 전작 가 워낙 명반이어서 상대적으로 부족해 보이는 느낌은 있지만 충분히 좋은 음반이다. Is It True Lost in Yesterday Borderline Instant Destiny Men I Trust - Oncle Jazz (2019) 맨 아이 트러스트의 세 번째 정규 앨범으로 최근 몇 달 동안 가장 많이 듣고 있는 앨범이다. 목소리도 이쁜데 얼굴까지 이쁜 사기 캐릭터 엠마누엘 프룰의 비중이 상당히 커졌는데, 몇 곡만 불렀던 전작 Headroom과 달리 전곡의 보컬을 맡고 있다.(+기타까지) 캐나다 몬트리올 출신 인디밴드로 아직 미국에선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듯 하지만 얼마 전 홍대로 내한공연도 다녀가는 등 인디 쪽에선 꽤 글로벌하게 활동 중이다. 이 팀은 솔직히 엠마누엘의 지분이 너무 크지만 그 외의 특징이라면 기타+보컬, 베이스, 신디사이저의 3인 구성으로 밴드에 드럼이 없다. 때문에 주로 드럼 머신을 사용하고 그 위에 베이스를 얹는 스타일이라 일렉트로닉 색채가 강하고 베이스라인도 꽤 부각되는 편이다. 레트로 한 드림팝이라고 볼 수.. Big Thief - Masterpiece (2016) 요즘 인디 포크락 씬에서 꽤 잘 나가는 빅 씨프의 데뷔작으로, 마스터피스라는 앨범명에서부터 범상치 않은 패기가 느껴진다. 이후에 내놓는 앨범들이 갈수록 더 좋아지는 탓에 상대적으로 이 앨범을 마스터피스라고 하기는 힘들 것 같지만, 어쨌든 데뷔작으로는 충분히 인상적인 앨범이다. 포크 기반의 내추럴하고 단출한 사운드에 내성적이고 서정적인 곡들과 보컬 애드리안 렌커의 어딘가 위태위태한 목소리가 더해져 이들만의 독특한 색깔을 만들어낸다. Masterpiece Paul Parallels Vampire Weekend - Father of the Bride (2019) 이젠 세계적인 인디밴드라는 다소 어색한 표현을 써야 할 정도로 거물이 된 뱀파이어 위켄드의 정규 4집으로, 2020 그래미 베스트 얼터너티브 앨범을 수상했다. 18곡을 눌러 담은 더블 앨범으로 식지 않은 창작열을 보여줬지만, 워낙 전작들이 명반이었기에 높아진 기대에는 다소 못 미친 느낌이다. Married in a Gold Rush This Life How Long? Local Natives - Violet Street (2019) 로컬 네이티브스의 네 번째 정규 앨범으로 이들의 최고작이라 생각되진 않지만 마음에 드는 곡들이 몇몇 있다. 특히 When Am I Gonna Lose You는 쿵작거리는 리듬 속에 묘하게 어둡고 음울한 특유의 분위기가 잘 살아있는 곡이라 한동안 많이 들었다. When Am I Gonna Lose You Café Amarillo Megaton Mile Cigarettes After Sex - Cigarettes After Sex (2017) 국내 팬들 사이에선 일명 '섹후땡'으로 불리는 인디밴드 시가렛츠 애프터 섹스의 정규 데뷔 앨범.(이미 내한 공연도 다녀가심) 음악 스타일은 드림팝, 슈게이징 계열로 볼 수 있는데 몽환적이고 나른하지만 멜로디가 강조돼서 난해하지 않고 듣기 편하다. 밴드 리더이자 보컬인 그렉 곤잘레스의 외모와 매치 안되는 맑고 고운 미성이 귀에서 녹아내린다. K. Apocalypse Sweet Dirty Honey - Dirty Honey (2019) 이제 막 5곡짜리 EP 앨범을 냈을 뿐인 신인인데 When I'm Gone이란 곡으로 빌보드 메인스트림 락 송 차트 1위까지 오르며 화려하게 등장, 게다가 메인스트림 락 송 차트 1위를 차지한 최초의 Unsigned Band(아직 레이블과 계약도 하지 못한 밴드)라는 기록도 세운다. 음악을 들어보면 2019년 앨범이 맞나 싶을 정도로 옛날로 돌아가는데 얼마 전 포스팅 한 그레타 반 플릿 이 레드 제플린이 생각나는 70년대 사운드라면 이 팀은 80년대 아메리칸 하드락을 표방하고 있다. 보컬 목소리에서도 스티븐 타일러나 액슬 로즈 등 그 시절 여러 형님들이 떠오른다. 사실 이런 장르는 한물 간 비주류고 나도 요새는 거의 안 듣지만 옛날에 즐겨 듣던 스타일의 음악을 요즘 밴드를 통해 다시 듣는 건 또 다른 즐.. Greta Van Fleet - From the Fires (2017) 레드 제플린의 재림이라는 찬사와 그저 이미테이션 짝퉁 밴드일 뿐이라는 괄시를 동시에 받으며 시끄럽게 등장한 그레타 반 플릿의 데뷔 EP. 평가는 개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이 앨범이 2019 그래미에서 베스트 록 앨범을 수상함으로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인정을 받았다고 볼 수 있겠다. 본인들이 인정하든 안 하든 보컬의 창법부터 전체적인 곡의 스타일과 심지어 기타의 톤까지 레드 제플린을 떠오르게 만드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 하지만 창법은 비슷해도 음색은 로버트 플랜트와 차이가 꽤 있는데 쥐어 짜내는듯한 톤이라 개인적으로 그렇게 좋아하는 스타일은 아니다. 또 당연하다고도 할 수 있지만 노래의 깊이나 필에서도 로버트 플랜트와 견주기엔 아직 많이 부족하다. 하지만 보컬인 조쉬 키스카를 비롯해 멤버들이 이제 갓 2.. The Lumineers - III (2019) 기다리고 기다리던 루미니어스 3집이 발매되고 한 달간 신나게 들었다. 1, 2집에 비해 크게 달라지거나 변화한 모습은 느껴지지 않으나 이대로도 충분히 좋다. 총 10곡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전곡의 뮤직 비디오를 이어지는 하나의 영화처럼 만들어 놓은 것이 인상적이다. Donna Life In The City Gloria 이전 1 2 3 4 5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