뷔페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슐리 퀸즈 던던 동대문점 평일 런치 한때 일주일에 한 번은 갈 정도로 애슐리를 자주 갔었는데 갈수록 떨어지는 퀄리티에 실망하고 발길을 끊은 지 5~6년 된 것 같다.그동안 코로나19와 외식 트렌드 변화로 뷔페/패밀리 레스토랑 프랜차이즈들이 줄줄이 문을 닫았지만 애슐리는 퀸즈 매장으로 리뉴얼하면서 가격을 평일 런치 19,900원으로 맞춰 가성비 뷔페로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얼마나 변했는지 궁금해서 가보기로 했고 기왕이면 최근에 오픈한 매장인 던던 동대문점으로 가기로 했다.예전부터 애슐리는 큰 매장이 많았지만 던던 동대문점도 상당히 넓었는데 신규 매장이라 쾌적했고 입구에 있는 키오스크로 직접 결제하고 입장하는 방식만 예전과 다른 모습이었다.모르고 갔지만 애슐리 퀸즈 던던 동대문점은 신메뉴 선출시 매장이었고 의도치 않게 이날이 이전 딸기.. 바이킹스워프 롯데월드몰점 오랜만에 갔던 바이킹스 워프.이젠 환율이 너무 올라서 가성비가 안 좋다. 노보텔 앰배서더 동대문 푸드 익스체인지 푸드 익스체인지는 몇 년 전 용산에서 한번 가보고 두 번째인데 지점도 다르고 시간도 많이 흐른 만큼 메뉴 구성은 많이 달랐지만 가성비가 좋다는 점에선 비슷했다.하지만 이런 가성비 위주의 호텔 뷔페들이 대체로 그렇듯 여기만의 시그니처라고 할만한 특별하고 기억에 남는 메뉴는 딱히 없다. 콘래드 서울 제스트 콘래드 서울 호텔 뷔페 제스트 평일 런치 후기.평일 런치엔 랍스터 집게발이 나온다.(주말엔 꼬리 포함)회는 참치, 농어, 연어 있고 맛도 무난하다.바로 육류로 시작한다.양갈비는 좀 질기고 향이 없었고 치마살 구이는 맛은 괜찮은데 소스가 별로다.(스테이크 소스가 없음)연어구이는 토마토소스와 조합이 나쁘지 않았고 LA 갈비는 짭짤하니 먹을만하다.대게는 안 짜고 살도 많아서 맛있는데 수분기가 없어서 좀 팍팍한 게 아쉬웠다.커피는 주문하면 자리로 가져다주고 진하고 맛 괜찮다.유린기는 닭냄새가 좀 나서 별로였고 유산슬은 해산물이 거의 없고 짰다.불고기는 불향 나고 맛있는데 사람이 적어 회전이 안 돼서 그런지 식어버렸다.구로육은 탕수육이랑 비슷한데 새콤하고 맛 괜찮다.케이크들은 다 맛이 괜찮다.창밖으로 여의도공원에.. 빕스 어린이대공원점 한때는 최소 한 달에 한번, 심할 땐 일주일에 두 번을 간 적도 있는 빕스지만 코로나 시국을 거치면서 거의 5만 원으로 오른 샐러드바 가격에 비해 음식 만족도가 떨어져 안 간지 오래됐다.그런 빕스를 막내 부부가 저녁을 산다고 해서 가게 됐는데 블로그 기록을 살펴보니 빕스는 3년 만이고 어린이대공원점은 4년 만이었다.매장 구조나 분위기 등은 거의 그대로였지만 쌀국수를 로봇이 만들어 주고 빈 접시도 로봇이 치워주는 모습은 낯설게 느껴졌다.너무 오랜만에 가서 그런지 많은 메뉴들이 예전엔 못 보던 것들이어서 생각보다 맛있게 먹었는데 특히 로스트 머쉬룸 샐러드랑 DIY 타코, 멕시칸 크리스피 슈림프, 퀘사디아 등이 괜찮았다.(적고 보니 대부분 멕시칸인 듯)빕스 시그니처인 폭립과 훈제연어는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 조선 팰리스 콘스탄스 가족 식사로 다녀왔던 조선팰리스 호텔 뷔페 콘스탄스.지어진 지 몇 년 안 돼서 시설이 다 새거라 깔끔한데 호텔 인테리어가 좀.. 좋게 말하면 고급스러운데 브랜드 아파트 같은 분위기가 나서 내 취향은 아니었다.콘스탄스 내부는 덜 오버스러운 인테리어에 층고가 높아서 개방감이 있고 쾌적하다.가격은 디너 및 주말 1인 185,000원이고 요즘 호텔 뷔페 장사 안 된다고 하는 거치곤 사람이 꽤 있었다.음식 종류는 엄청 다양하진 않지만 있을 건 다 있고 양갈비랑 메로 구이가 가장 괜찮았던 것 같고 대게도 나쁘지 않았다.하지만 여기만의 시그니처라고 할만한 특별한 메뉴나 차별화된 맛은 딱히 못 느꼈던 것 같다. 고메스퀘어 미사점 둘째 생일이라 가족 식사 모임.음식 퀄리티는 별 차이 없는데 가격은 오르고 예전만큼 많이 먹지도 못해서 뷔페 안 간지 꽤 됐는데 막내가 새로 생긴 고메스퀘어 한번 가보자고 해서 다녀왔다.가격은 주말/공휴일 32,900원. 이용 시간 100분 제한. 주차 2시간 무료.매장 앞에 웨이팅 공간이 있는데 냉방을 안 하는지 굉장히 후덥지근하다.매장이 꽤 넓은데도 5시 좀 넘으니 웨이팅 생기기 시작.우린 8명인데 예약을 10인 이상만 받는다고 해서 할 수 없이 그냥 간 건데 다행히 자리는 있었지만 두 테이블로 나눠 앉아야 했다.4인도 아니고 8인도 예약을 안 받는 건 이해가 안 되는 부분.사진엔 없지만 롤+초밥+회 코너도 꽤 크게 있다.매장은 지하라 좀 답답하긴 하지만 새로 오픈해서 깨끗하고 넓다.하지만 넓은 만큼.. 앰버서더 서울 풀만 더 킹스 앰버서더 서울 풀만 호텔 뷔페 더 킹스를 주중 디너로 다녀왔다.(가격은 방문 당시 1인 12만 원이었는데 지금은 14만 원으로 오름) 분위기나 서비스, 음식 가짓수 등은 평범하고 특별할 게 없는데 한 가지 확실한 건 여기 대게찜이 매우 맛있다는 거다. 신선하고 짜지 않고 살도 실한 것이 지금까지 가본 뷔페들 중에서 여기 대게찜이 최고였다. 그리고 LA 갈비도 매우 맛있는데, 스테이크 등 다른 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LA 갈비를 좋아하는 편이 아닌데 여기 LA 갈비는 맛있어서 꽤 많이 먹었다. 양갈비도 대게찜이나 LA 갈비만큼은 아니지만 괜찮은 편이고 중식 메뉴들과 튀김류도 좋았다. 번거롭게 주문하지 않고 자동 머신으로 커피를 마음대로 내려 먹을 수 있는 것도 좋았고 배불러서 별로 못 먹었지만 디저트도 괜.. 신라스테이 서대문 카페 3성급 호텔 신라스테이의 조식, 런치 뷔페. 주말 런치는 1인당 29,000원이고 그래도 명색이 호텔 뷔페라고 재즈가 흐르고 분위기도 모던&깔끔하다. 하지만 가격에서 예상 가능하지만 음식 가짓수는 몇 가지 안 된다. 맛은 대체로 무난하고 커피도 괜찮아서 가볍게 브런치 먹기엔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롯데호텔 제주 더 캔버스 지난달 제주도 가족여행 때 다녀온 롯데호텔 더 캔버스. 제주도까지 가서 웬 호텔 뷔페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제주도 음식이라고 해봐야 어차피 돔베고기, 갈치조림, 해물뚝배기 등 뻔하기 때문에 맛있는 거 골고루 먹을 수 있는 호텔 뷔페도 괜찮은 선택지다. 그리고 다른 롯데호텔 뷔페는 전부 라세느인데 롯데호텔 제주만 라세느가 아닌 더 캔버스로 다른 것도 궁금해서 가보고 싶었다. 아직 오픈한 지 2년이 채 안된 곳이라 그런지 인테리어나 분위기가 모던하고 깔끔했다. 하지만 좌우로 이등분된 구조로 음식도 양쪽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반대편 음식을 가지러 가는 동선이 불편하다. 라세느의 메인인 랍스터 구이와 양갈비가 여기도 똑같이 있는 걸 보고 이름은 다르지만 같은 롯데호텔 뷔페라는 걸 느낄 수 있었다. 맛도 라세.. 빕스 제일제당센터점 사실 빕스 끊은 지 좀 됐는데 올해 빕스 매니아 쿠폰 중 1인 샐러드바 무료 쿠폰은 버리기 아까워서 쓰고 왔다. 몇 번 가봤던 제일제당센터점으로 갔는데 이때만 해도 거리두기 4단계 시행 전이라 사람이 꽤 많았다. 하지만 빕스를 거의 1년 만에 간 거였는데도 콩고기 샐러드 말고는 전부 기존에 로테이션 돌던 메뉴들이라 새로움 같은 건 느낄 수 없었다. 그동안 빕스를 너무 많이 간 것도 있지만 외식 트렌드 변화와 코로나까지 겹치면서 뷔페 레스토랑은 확실히 하향세인 것 같다. 그랜드 워커힐 서울 더뷔페 워커힐 더 뷔페를 다녀왔다. 호텔 뷔페들 주말에 2시간씩 끊어서 2부제로 운영하는 거 마음에 안 들어서 평일 점심으로 갔다.(더 뷔페 평일 점심은 3시간) 2시간이면 먹기만 해도 빠듯해서 느긋하게 먹기 힘든데 인당 10만 원 넘게 받아먹으면서 2시간으로 제한하는 건 양심 없는 운영정책이다. 워커힐이 오래된 호텔이다 보니 규모는 크지만 (중간에 리모델링을 하긴 했겠지만) 전체적인 인테리어나 분위기는 좀 올드한 느낌이었다. 직원들도 딱히 불친절한 건 아니지만 친절하고 서비스 좋다고 느꼈던 다른 호텔 뷔페들에 비하면 좀 딱딱하고 그냥 각자 자기 할 일만 한다는 느낌. 음식 가짓수는 평균보다 좀 더 적은 편으로 보였는데, 음식이 거의 다 맛있거나 최소한 맛없는 건 없었을 정도로 전체적인 맛의 만족도는 좋았다. ..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