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entine - Valentine (1995) 발렌타인의 정규3집으로 본격적인 발렌타인의 원맨쇼가 펼쳐지는 앨범이다. 모든곡을 쓰고 기타, 건반, 보컬등 드럼을 제외한 모든 파트를 혼자 소화한다. 셀프타이틀을 붙인것에서 보여지듯 뭔가 새로운 전환점을 삼고자 했음을 느낄 수 있는데 바로 오페라락의 시도가 그것이다. 첫곡 God만 들어봐도 이런 변화는 확실히 알 수 있는데 솔직히 난 장르적으로 본다면 퀸의 Bohemian Rhapsody보다 더 잘만든 곡이라고 생각한다. (덧붙여서 난 퀸을 좋아하며 퀸의 음악을 오페라락으로 단정짓는것도 싫어한다. 오페라락은 퀸이 시도한 다양한 음악들중 한가지였을뿐이다) 오페라락이란 꼬리표를 때더라도 드라마틱한 곡전개나 멜로디컬한 코러스부분등은 퀸의 향수가 느껴지기도한다. 피아노를 내세운 자켓처럼 전반적으로 건반의 사용이.. Valentine - No Turning Back (1994) 양주도 아니고 초코렛 먹는날도 아니다. 비록 우리나라나 미국시장에선 제3세계 음악 취급받지만 AOR장르가 활성화된 유럽이나 일본쪽에선 스타대접 받는 네덜란드의 귀공자 발렌타인의 앨범이다. (92,93년에 냈던 1,2집에서 좋은곡들만 뽑아서 발렌타인이란 이름으로 새로 낸 앨범이다) 이름도 비슷하고 스타일도 비슷한 같은 네덜란드의 발렌시아와 좋은 비교가 되는 뮤지션인데 개인적으로 발렌타인의 음악을 더 즐겨들었다. 두장의 앨범에서 액기스만 뽑아놨으니 곡들이 다 좋을 수 밖에 없는데 발렌타인의 첫 히트 싱글이었던 Over and Over Again의 눈물없인 들을 수 없는 멜로디와 Only Your Love의 상큼발랄함, 어쿠스틱한 Angel of My Heart와 Miss You Eternally, I Bel.. Nickelback - Silver Side Up (2001) 5년전 가을이었던것 같다. 프리챌에서 음악방송을 할때였는데 거기서 친해진 캐나다에 거주중인 한 청취자가 있었다. 어느날 그 사람이 요즘 너무 좋아하는곡이라며 신청한것이 바로 이 앨범에 실린 How You Remind Me였다. 하지만 그때까지 락. 그것도 얼터쪽으론 나름대로 좀 듣는다고 생각하던 나도 니켈백이란 이름은 처음 듣는거였다. 그래서 '아 신인그룹인가보죠?' 라고 물었더니만 캐나다에선 이미 스타밴드고 지금 미국에서도 막 뜨고 있는 밴드라는 대답이.. 그렇게 망신을 당하며 메신저로 건네받아서 틀게된 How You Remind Me를 내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솔직히 처음 들었을땐 그냥 그렇다 정도의 느낌이었다. 하지만 두번 세번 듣다보니 은근히 중독성이 있더라. 채드의 보컬은 제임스 핫필드가 얼.. Marilyn Manson - Antichrist Superstar (1996) 당시 국내에서는 [Smells Like Children]앨범의 Sweet Dream이 많이 알려지면서 맨슨의 엽기행각이 화제거리가 되고있었다. 지금은 그저 맛간 광대정도로 취급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10여년전 맨슨의 등장과 그 포스는 취향에 맞고 안맞고를 떠나서 무시 할 수 없는 그런것이었다. 주로 그의 음악보다는 요란한 퍼포먼스가 부각되었지만 잘 들어보면 곡들도 제법 좋고 짜임새 있으며 특히 맨슨의 라이브 실력은 퍼포먼스로 어필하는 밴드라 하기엔 상당히 뛰어난편이다. 또 그 각종 퍼포먼스나 쇼맨쉽도 그저 멋대로 또라이짓하는게 아닌 사전에 철저히 계획, 연출된점이란것도 난 높은 점수를 주고싶다. 그만큼 이사람은 자기 컨셉과 캐릭터를 잘 구축했고 또 그에 맞게 노력을 한다는것이다. 음악적으론 별로 내 취향은.. New Radicals - Maybe You've Been Brainwashed Too (1998) 겉으로 보기엔 동네 노는형 같아보이는 그렉 알렉산더의 원맨 밴드 뉴 래디컬즈의 유일한 앨범. 역시 사람은 겉보기로 평가해선 안될일이다. 혼자 작곡, 보컬, 프로듀싱까지 해버리는거 자체는 그리 대단한게 아닐 수 있지만 그 결과물이 이정도라면 대단하다고 할만하다. 흥겨운 복고풍 사운드로 들을때마다 기분이 좋아지는 You Get What You Give와 코러스가 인상적인 Someday We'll Know, 차분한 느낌의 I Don't Wanna Die Anymore, 다른곡들과는 조금 색다른 분위기의 발라드 Crying Like a Church on Monday까지 좋은곡들이 줄줄. 이곳저곳 기웃거리지말고 앨범하나 더 내줬으면 좋겠는데. Lifehouse - No Name Face (2000) 처음 라이프하우스가 Hanging By a Mement로 빌보드 모던락 챠트를 점령하며 대박을 쳤을때도 난 어리고 곱상한 녀석들이 한몫 잡아보려고 대세 스타일을 흉내낸게 아닌가 생각 했었다. 워낙에 그당시엔 비슷비슷한 포스트 그런지 밴드들이 넘쳐났었기 때문에. 하지만 우연히 Sick Cycle Carousel을 듣고나서 심상치않은 녀석들이란걸 느꼈고 결국 앨범 전체를 다 들어본 후 이들에 대한 나의 편견이 있었음을 인정했다. 이런 밴드들이 피해갈 수 없는, 보컬이 에디 베더나 스캇 스탭과 비슷하다는 태클을 포함해서 사실 음악적으로는 그다지 독특할것은 없었지만 멤버들의 나이와 경력에 비해 제법 성숙한 분위기, 그리고 조금은 어둡고 아련한 그런 감정까지 머금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청자들에게 결코 .. 일찍이 땡칠이랑 놀던 심형래 아저씨께서 '못해서 안하는게 아니라 안해서 못하는것'이라 말씀하셨다. 옳으신 말씀이지만 한마디만 거들자. 안해서 못하기 이전에 하기 싫으니까 안하는거다. 업그레이드 드디어 메인컴 업그레이드!! 듀얼이 좋긴 좋구만.. 마지막은 보너스 단체샷. 신미 쭈꾸미 지나다니다 한번 가야지 생각만하다 드디어 찾아간 신미 쭈꾸미. 맵긴 맵다.. 근데 맛있다. 억지로 매운맛 내려고 화학약품을 쓴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드는 불닭같은 그런 인위적인 매운맛이 아니다.. 순수한 양념으로 깊은 매운맛을 낸듯한 맛있게 매운 맛. 바로 이맛이야... 계란찜 안시켰으면 큰일날뻔했다. 피자빵 미니오븐으로 만든 피자빵. 돈주고 사먹을 필요없다. Cake - Prolonging Magic (1998) 케잌의 다른 앨범들에 비해 별로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한 앨범이지만 난 이 앨범이 가장 좋다. 장난기섞인 독특한 요소들이 좀 사라지고 대신 컨트리, 포크적인 색채가 진해졌는데. 사람들은 평범해진 케잌은 원하지 않는가보다. 전작인 [Fashion Nugget]의 스타일과 비슷한 Never There가 인기를 끌었던것을 봐도 알 수 있는데 난 오히려 이곡이 별로다. 푸근하고 나긋나긋한 흥겨움이 가득. Guitar, Mexico, Walk On By, Let Me Go, Satan is My Motor같은곡들 정말 좋다. Suicidal Tendencies - Suicidal Tendencies (1983) 하드코어 펑크가 무엇인지 알고싶다면 이 앨범을 들어라. 펑크 기반위에 헤비메탈, 스래쉬를 업고 랩을 내뱉으며 무작정 달린다. Institutionalized 같은곡에 맞춰 달리기엔 나도 이젠 후달리지만 사악하면서도 신나고 헤비하고 거기다 그루브까지. 하여간 달리기엔 최고다. I Saw Your Mommy, Two Sided Politics도 좋다. 요즘 기준으로 보기엔 좀 촌스러울지 몰라도 이 앨범이 80년대초에 나온것이란걸 생각하면 대단한 음반이다. 이전 1 ··· 296 297 298 299 300 301 302 ··· 326 다음